데브 옵스(DevOps)란? : 데브 옵스의 정의, 툴, 전망까지

데브 옵스: 현대 IT업계에서 필수적인 업무적 방법론 개념이자 하나의 직무
Mar 21, 2025
데브 옵스(DevOps)란? : 데브 옵스의 정의, 툴, 전망까지
 
'데브 옵스' 라는 단어, 들어보셨나요? IT 기업에서 일하거나 개발 방면으로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것 같은데요. '우리 회사는 데브 옵스 기반의 업무를 한다'는 말이 있는 것을 보면 일하는 방법 같기도 하고, 채용 공고에 올라온 '데브 옵스 엔지니어' 공고를 보면 직무명 같기도 합니다. 2025년 주요 비즈니스 트렌드로 데브옵스 플랫폼이 부상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어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대체 데브 옵스가 정확히 무엇일까요? 데브 옵스(Dev Ops)의 정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데브 옵스(Dev Ops)란? 1) 데브 옵스 프레임워크 2) 데브 옵스 엔지니어
  1. 지속적 통합(CI) - 지속적 배포(CD)
  1. 데브 옵스 툴
  1. 데브 옵스 전망
 
 

1. 데브 옵스(DevOps)란?

데브 옵스(DevOps)란 Dev(개발, Development)과 Ops(운영, Operations)의 합성어로 더 빠르고 더 좋은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 개발과 운영이 협력하여 병렬적으로 일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그리고 이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사람을 데브옵스 엔지니어라고 부릅니다.

1) 데브 옵스 프레임워크

일하는 방법, 프레임워크로서의 데브 옵스는 개발과 운영을 동시에 작업하며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개발자들은 말 그대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개발하고, 빌드합니다. 운영팀은 이렇게 개발한 콘텐츠를 테스트하고, 배포하고, 실질적으로 유저(고객)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데요. 이 과정에서 두 팀이 협력할 수 있게 하고, 그를 통해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예를 들어, 데브 옵스 프레임워크에서는 자동화를 중점으로 작업합니다. 개발 과정에서 빌드와 배포 과정을 자동화하여 효율적으로 작업하고, 배포 시 운영 측에서의 서비스 중지 혹은 지연 등의 이슈가 생기지 않도록 클라우드를 이용해 무정지 릴리즈 또는 배포가 가능하게 만듭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발과 운영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하여 개발적 역량을 극대화하고 사용성을 높이는 일하는 방법이자 과정을 말합니다.

2) 데브 옵스 엔지니어

그렇다면 데브 옵스 엔지니어는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일까요? 데브 옵스 엔지니어는 위에서 말씀드린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데이터 전달 구조를 구성하여 반복 수행이 필요한 데이터 분류 또는 정형화, 전달 작업이 가능하게 만듭니다. 혹은 보안 시스템을 개발하여 자동화 과정에서 네트워크의 보안적 이슈가 생기지 않도록 방지하는 일도 하죠. 또한 운영 측에서의 효율적 작업을 위해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운영 과정에서 생기는 다양한 문제의 백스토리와 원인을 파악합니다. 이 모든 것들은 기본적인 구성뿐만이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의 그로스(growth)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데브 옵스는 이러한 이유들로 점점 IT 기업들에게서 중요성을 주목받고 있는데요. 프레임워크이자 이를 담당하는 직업인이 생기며 최근에는 자연스럽게 직무명 자체로서 기능하고 있기도 합니다. 데브 옵스를 구성하는 개념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아래에서 계속 이야기해 볼게요.
notion image
 
 

2. 지속적 통합 - 지속적 전달 - 지속적 배포

지속적 통합(CI, Continuous Integration)과 지속적 제공, 지속적 전달(CD, Continuous Delivery), 지속적 배포(CD, Continuous Deployment)는 데브 옵스를 관통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는 데브 옵스뿐만이 아니라, 효율적이고 발빠른 효과를 위한 짧은 주기의 작업 패턴을 말하는 애자일 방법론(Agile framework)의 기본 조건이기도 한데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개발 사이클을 최소화 혹은 간소화하여 서비스 지연을 방지하고 신속한 제공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과정입니다. 어떤 이야기인지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볼게요.

1) 지속적 통합(CI, 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 통합(Continuous Integration)이란, 여러 명의 개발자들이 동시에 한 가지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환경에서 서로의 코드가 분해되거나 손상받지 않으면서 병합하여 변경 사항을 자동 빌드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코드별 충돌이 많이 일어나는 경우, 매우 다수의 개발자가 한 가지를 개발하는 경우, 충돌로 인한 버그가 자주 발생하는 경우 CI의 도입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2) 지속적 제공, 지속적 전달(CD, Continuous Delivery)

지속적 전달(Continuous Delivery)이란, 빌드 이후의 모든 코드 수정 또는 여러 변형을 지속적으로 즉시 배포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코드 변경 이후 스테이징 빌드 환경으로 코드가 푸시됩니다. 수정 버전이 업데이트되면 이를 빌드하고 테스트하는 과정, 그리고 마지막 스테이징까지 전부 자동화 처리합니다. 최종 배포는 개발자가 직접 진행합니다.

3) 지속적 배포(CD, Continuous Deployment)

지속적 배포(CD, Continuous Deployment)란, 지속적 통합(CI)과 지속적 전달(CD)의 집합체이자 결과물로 최종적인 배포가 중간 이슈 혹은 잡음, 불필요한 과정 없이 효율적 자동화되어 개발의 군더더기를 줄인 것을 말합니다. 지속적 전달(Continuous Delivery)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배포 자동화인데요. 지속적 전달(Continuous Delivery)은 배포에 있어 수동 승인이 필요하지만 지속적 배포(Continuous Deployment)는 배포까지 자동화가 가능합니다. 지속적인 개발 문화는 이처럼 개발의 사이클이 효율적으로 굴러가도록 만들어 지속적이고 빠른 업데이트와 신개발이 가능하도록 환경을 만드는 것에 큰 도움이 됩니다.

3. 데브 옵스 툴

그렇다면 데브 옵스 작업에 필요한 툴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데브 옵스 엔지니어들은 어떤 툴을 어디에 사용하고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notion image

도커 (Docker)

도커는 CI(Continuous Integration)와 CD(Continuous Delivery) 파이프라인 구축에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오픈소스 도구로, 응용 프로그램들을 컨테이너로 실행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패키징을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젠킨스 (Jenkins)

젠킨스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되는 지속적 통합을 가능하게 해 주는 도구입니다. 버전 충돌 방지를 위해 각 개발자들의 작업 과정을 저장 공간에 자동으로 주기적 업로드를 합니다. 배포에 있어 주요하게 사용됩니다.

Ansible (앤서블)

여러 가지 서버의 설정과 인프라를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자동화 도구입니다. 시스템 구성과 소프트웨어 배포, 자동 업데이트 등 여러 작업이 가능합니다. 애플리케이션 구성 작업에 사용합니다.

ELK Stack, Elastick Stack (엘라스틱 스택)

ELK Stack은 Elastic Search, Logstash, Kibana의 약자로서 모든 데이터를 분류하고 정형화 또는 시각화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데이터 분석에 자주 쓰이며, Elastic 사의 데이터 플랫폼을 말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의 모니터링에 주로 사용합니다.
 
 

4. 데브 옵스 전망

데브 옵스는 앞으로 더욱 중요한 IT 트렌드로 자리잡을 전망입니다. 더큐브 리서치(theCUBE Research)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까지 조직의 절반이 통합 데브 옵스 플랫폼을 도입하여 워크플로우를 간소화하고 운영 오버헤드를 줄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개발이 단순 '개발'에서 멈추지 않게 해주는 데브 옵스는 현재 많은 기업들이 택하고 있는 업무 방식이자 도구로, 자동화를 통한 리소스 절약, 빠른 문제 해결, 확장성 및 가용성의 향상이라는 장점은 데브 옵스의 중요도를 더욱 높이고 있습니다. 출처 : 디지털투데이 - 2025년 주요 비즈니스 트렌드…AI 증강 개발·노코드·데브옵스
2025년 IT 트렌드의 중심에 있는 데브옵스. 데브옵스 엔지니어에 도전해 보는 걸 어떨까요?
2025년 IT 트렌드의 중심에 있는 데브옵스. 데브옵스 엔지니어에 도전해 보는 걸 어떨까요?
 
 
 
 

 
 

IT 취업에 한계란 없다, 내일배움캠프에서 여러분의 무한한 가능성을 확인하세요

비전공자, 늦은 나이, 경험 부족···, 도전을 머뭇거리게 하는 단어들은 너무 많습니다. 대부분은 이 단어들의 무게에 짓눌려 결국 시작조차 못 하고 포기하죠. 내일배움캠프는 IT 취업에서 여러분의 발목을 잡는 단어는 아무것도 없다고 믿었습니다. 그리고 내일배움캠프에서 탄생한 수천 명의 IT 취업생으로 증명했죠. 내일배움캠프가 여러분의 가능성에 대한 ‘의심’을 ‘확신’으로 바꿔드리겠습니다. 체계적이고 꼼꼼한 관리, 고도화된 커리큘럼, 그리고 매니저와 튜터의 적극적인 지원을 믿고, 새로운 도전을 시작해 보세요.
 

특별 1:1 진로 상담 이벤트: 내게 맞는 IT 직무 찾기

notion image
1:1 상담으로 내게 맞는 일이 어떤 것인지 찾아 보세요. 지금 당장 아는 것, 준비된 것이 없더라도 내가 어떤 일과 잘 맞을지 짚어드립니다. 상담을 받는 분들께 최신 이력서 작성 가이드와 더불어 내일배움캠프 등록 시 인턴십 기회를 보장합니다. 지금 바로 아래 버튼을 눌러 진로 상담을 받아보세요.
Share article
Subscribe to our newsletter

내일배움캠프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