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배움캠프 우수 TIL | Kotlin 4, 5기 2월 1, 2주차
내일배움캠프 수강생들은 매일 그날 배운 것을 정리하는 TIL(Today I Learned)를 블로그에 업로드합니다. TIL은 자신의 개발 역량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취업할 때 성실함을 증명하는 수단이 되죠.
내일배움캠프의 수강생들은 TIL을 어떤 방법으로 작성하고 있을까요? 내일배움캠프 수강생들의 우수 TIL을 발표합니다.
4기
이채영
✍🏻 4. 운영체제 4장 스레드 동기, 비동기, 스레드풀
👩🏻💻선정 이유
채영 님께서 우수 TIL로 선정된 이유는 복잡한 동기와 비동기 스레딩 개념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직접적인 예제와 시각적인 다이어그램을 통해 명확하게 표현했기 때문입니다. 동기 방식의 예제를 통해 작업 중 CPU가 대기하는 상황을, 비동기 방식에서는 CPU가 다른 작업을 수행하면서도 파일 읽기 작업을 병행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했습니다. 또한, 동기 스레딩과 비동기 스레딩의 차이를 그림으로 표현하여 개념을 시각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우수 TIL로 선정하였습니다.
5기
이지은
✍🏻 250204 - Java Spring과 CS개념: 클라우드, 데이터 교환, 연관관계, 객체지향(SOLID원칙, IoC와 DI)
👩🏻💻선정 이유
지은 님은 개념을 단순히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한 내용을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왜 이 개념이 필요한지"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어 이해하기 쉽습니다. 또 핵심 개념을 설명하면서 실제 적용 가능한 예제 코드를 함께 제공하여 이해도를 높였고 코드를 본인이 직접 작성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덧붙였습니다. 단순한 정리 수준이 아니라, 학습한 내용을 본인의 경험과 연결하여 고민하는 모습이 보였고 이 개념을 이런 상황에서 써볼 수 있겠다"는 식의 응용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우수 TIL로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권은서
✍🏻 [JPA] persist(), flush() 그리고 commit() 어떻게 DB에 반영될까?
👩🏻💻선정 이유
깊이 있는 탐구와 논리적인 전개 방식이 돋보입니다. 영속성 컨텍스트와 관련된 메서드들의 동작 원리를 단순히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각 메서드의 실행 시점과 트랜잭션과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했습니다. 특히 flush()와 commit()이 DB에 반영되는 과정에서의 차이를 비교하며 명확히 설명한 점이 인상적입니다. 또한, 메서드를 잘못 이해할 경우 트랜잭션 처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짚어내며, 실무에서 해당 개념의 중요성을 강조한 점도 우수합니다. 아울러,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아가는 학습 방식이 개념의 깊이를 더할 뿐만 아니라, 독자가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됩니다.
여러분의 결심이 결실을 맺을 때까지 내일배움캠프가 함께합니다
내일배움캠프는 단순히 지식을 쌓는 곳이 아닙니다. 성장하는 개발자가 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장이죠. TIL과 같은 아주 작은 습관부터 끝까지 나를 믿고 해내는 끈기까지. 누구나 개발자라는 꿈에 가닿을 수 있도록 가장 안전하고 튼튼한 계단을 놓아드립니다.
오직 성장에만 몰입할 수 있는 환경, 가장 효율적으로 개발 역량을 키울 수 있게 지도하는 튜터진, 매니저의 꼼꼼한 멘탈 관리까지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내일배움캠프와 함께 인생에서 가장 성장하는 시간을 만들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