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배움캠프 우수 TIL | AI 개발 9기 2월 1, 2주차
내일배움캠프 수강생들은 매일 그날 배운 것을 정리하는 TIL(Today I Learned)를 블로그에 업로드합니다. TIL은 자신의 개발 역량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취업할 때 성실함을 증명하는 수단이 되죠.
내일배움캠프의 수강생들은 TIL을 어떤 방법으로 작성하고 있을까요? 내일배움캠프 수강생들의 우수 TIL을 발표합니다.
김민채
👩🏻💻선정 이유
이 글은 데이터를 JSON과 Python 객체 사이에서 변환하는 과정에서 Serializer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명확히 알려주며, 기본 Serializer와 ModelSerializer 두 가지 방식의 차이를 비교하여 보여줍니다. 실제 코드 예제를 포함하여 직렬화와 역직렬화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단계적으로 설명하고 있어 처음 접하는 사람도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커스텀 필드 추가 방법이나 유효성 검사 적용 방법 같은 자주 활용되는 기능들도 다루고 있습니다. 특정 값을 제한하거나 사용자 정의 로직을 추가하는 방법 등, 개념 정리를 넘어 실제 프로젝트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내용까지 포함되어 있어 이글을 우수 TIL로 선정합니다.
이현지
✍️ [TIL] 내일배움캠프 69일차_[LLM]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선정 이유
이 글은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의 활용에 대해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며, 특히 기존 LLM의 한계를 짚어보고 RAG의 필요성과 등장 배경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RAG의 검색과 생성 두 가지 주요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다양한 검색 알고리즘과 생성 방식을 구체적으로 다룬 점이 돋보입니다. 또한, 참고한 논문들을 통해 RAG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들(예: Self-Consistency RAG, Fact-Verification RAG)을 심도 있게 분석한 부분이 인상적입니다.
박민지
✍️ 생성형 AI(Generative AI)의 개발 과정과 어려움
👩🏻💻선정 이유
이 글은 AI가 배우는 과정, 어려운 점, 그리고 쉽게 만드는 방법을 쉽게 설명해주었습니다. 그래서 이글을 추천합니다. AI가 똑똑해지려면 많은 그림과 글을 보고 배워야 하고, 엄청 빠른 컴퓨터가 필요하지만 AI가 배우는 과정이 어려워서 가끔 이상한 그림을 그리거나 엉뚱한 말을 할 수도 있기때문에. 이미 똑똑해진 AI를 조금씩 더 공부하게 하면 시간이 덜 걸리고 더 똑똑한 AI를 만들 수 있다는 내용을 내포하고있고 개념 -> 문제 -> 해결방법 순으로 잘 설명되어있습니다.
여러분의 결심이 결실을 맺을 때까지 내일배움캠프가 함께합니다
내일배움캠프는 단순히 지식을 쌓는 곳이 아닙니다. 성장하는 개발자가 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장이죠. TIL과 같은 아주 작은 습관부터 끝까지 나를 믿고 해내는 끈기까지. 누구나 개발자라는 꿈에 가닿을 수 있도록 가장 안전하고 튼튼한 계단을 놓아드립니다.
오직 성장에만 몰입할 수 있는 환경, 가장 효율적으로 개발 역량을 키울 수 있게 지도하는 튜터진, 매니저의 꼼꼼한 멘탈 관리까지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내일배움캠프와 함께 인생에서 가장 성장하는 시간을 만들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