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본인의 실력을 객관적으로 증명하는 것입니다. 개발자 취준생이 코딩으로 만든 결과물을 보여주지 못한다면 어떨까요? 개발에 대한 열정과 관심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증명할 포트폴리오가 없다면 면접관들은 그 지원자의 실제 역량을 평가하기 어렵죠.
개발자 취업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깃허브를 통해 자신의 역량과 성과를 잘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잘 가꾼 깃허브 하나가 열 번 고친 자소서보다 낫다'라는 말이 있듯이, 이번 시간에는 포트폴리오로서 깃허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 깃허브 탄생 배경
- Git을 이용한 버전관리
깃허브(GitHub)의 탄생 배경
같은 회사에 다니는 영희와 철수가 동일 프로그램에 대해 기능을 업데이트 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영희와 철수의 근무표입니다.
시간 | 영희 | 철수 |
0 | 출근~ | ㅤ |
1 | 기능 A 추가 | 기능 A 추가 |
2 | 기능 B 추가 | 기능 B 추가 |
3 | 기능 A 삭제 | 기능 C 삭제 |
4 | 퇴근 ~ | … |
ㅤ | ㅤ | 퇴근 ~ |
다음날 어떻게 되었을까요? 한 회사에서 출시하는 프로그램임에도, 영희 버전과 철수 버전으로 나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그리고 영희의 컴퓨터에는 이런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을 겁니다.

이렇게 단계마다 파일을 저장해 둘 경우 용량을 너무 많이 차지하는 문제 또한 발생합니다. 철수와 영희는 포기하지 않고 v1.0에서 개선된 기능을 v1.1에 추가하기까지 성공합니다. 그러던 와중 코드가 엉켜 문제가 발생해 다시 v1.0으로 돌아가야하는 상황입니다. 누군가가 v1.0을 저장해놓지 않았다면 어떻게 될까요? 다시 처음부터 v1.0을 개발해야겠죠.
Git을 이용한 버전관리
영희와 철수의 상황처럼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여러 사람의 협업으로 이루어집니다. 여러분의 포트폴리오에 들어갈 프로젝트들 또한 대부분 협업으로 만든 프로젝트일 텐데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람들은 앞서 말한 문제점들을 극명하게 느끼기 시작했고,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버전 관리 시스템 VSC(Version Control System) 개념을 도입하게 됩니다.
버전 관리 시스템이란, 파일 변화를 시간에 따라 기록하여 저장소에 두고, 이후 특정 시점의 버전이 필요할 때 저장소에서 다시 꺼내올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즉 버전은 '변경 사항들의 기록'이고, 버전 관리는 '파일변화를 시간에 따라 기록했다가, 나중에 특정 시점의 버전을 다시 꺼내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버전 관리를 위해 실제로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git(깃) 설치부터 함께 차근차근해 봅시다.
① git 설치
버전 관리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git이라는 프로그램인데요. git은 로컬(사용자 PC)에 있는 파일들에 변동사항이 생길 때마다 github라는 임의의 저장소에 업로드 시켜 줍니다.

git은 로컬에 있는 파일에 변동사항이 생길 때마다 github에 업로드 시켜 줍니다. 즉 git은 파일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여러 명의 사람들이 작업한 파일들을 '조율'합니다. github는 git으로 관리된 정보를 백업하는 저장소(일종의 웹하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포트폴리오를 위한 첫 걸음으로, 아래 링크에 들어가 git을 다운 받아 봅시다.
- git 다운로드 : https://git-scm.com/downloads
② GitHub(깃허브) 회원가입
- GitHub 홈페이지 : https://github.com/
두 번째로 깃허브 ID가 필요합니다. 이메일 주소로 가입하시면 되고요, Username은 각별히 신경 써서 정해주세요. 회원가입과 설치를 완료하셨다면 바탕화면에 다음과 같은 아이콘이 생길 겁니다. 만약 생성되지 않았더라도 당황하지 마시고, Window 검색을 이용해 'Git Bash'를 열어 주세요.


git config --global user.name "사용자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abc.com"
위의 명령어를 입력해 줍니다.
'user.name'에는 가입시 입력한 이름을, 'user.email'에는 가입한 이메일을 입력해 주세요.(설치 후 최초 1회)
[영희와 철수를 구분하는 기준]
ㅤ | 영희 PC | 철수 PC |
ID | 1 | 2 |
E-mail | ㄱ | ㄴ |
ㅤ | ㅤ | ㅤ |
기능 | B | A,B,C |
③ github 사이트에 접속해 repository(저장소) 만들기
이제 git이 가져온 파일들을 깃허브에 저장해 봅시다. 저장소(repository)를 만드는 과정을 소개해 드릴 건데요. 레포지토리란 깃허브라는 저장공간 내 카테고리를 구분하는 하위 공간으로, 보통 프로젝트 단위로 많이 생성합니다. 깃허브 접속 후 Repositories 탭에서 Create Repository나 New라고 써있는 초록색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위와 같은 화면을 마주하셨나요? 위의 이미지처럼 입력하면 Spartacodingclub이라는 이름으로 저장소가 형성됩니다. Public과 Private은 다른 유저들에게 공개 여부를 선택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Public을 선택해 줍니다. Description은 repository에 대한 설명을 적는 란으로 필수적인 입력사항은 아닙니다. Description에 위와 같이 입력할 경우 완성된 Repositrory 밑에 작은 글씨로 설명이 적히게 됩니다. 곧 creating repository 버튼을 클릭 후 넘어가면 아래의 사진처럼 repository가 성공적으로 완성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하늘색 박스 안에 있는 주소(*저장소 주소)를 복사해 둡니다. (나중에 필요해요.) 이제 자신이 업로드하고싶은 프로젝트와 깃허브를 연결할 차례입니다. 자신이 올리고 싶은 파일을 연 상태에서 아래와 같이 terminal 탭 → new terminal을 클릭해 주세요.

그러면 하단에 terminal 창이 열릴 텐데요. 사진처럼 명령어를 입력해 줍니다.

위의 문장을 입력했으면 업로드 자체는 완료되었을 것입니다. 이 다섯줄만 기억하고 있으면 업로드는 무리없이 진행할 수 있는데요, 각 문장의 뜻이 무엇인지 설명드리겠습니다.

$git init은 버전관리를 시작하라는 명령어입니다. git init을 명령받은 순간부터 git은 변경사항을 추적할 준비를 합니다. (명령어 앞에 붙은 $는 터미널 안에 입력하라는 뜻으로 소개드린 방법대로 터미널을 직접 열어서 명령어를 입력한 경우 $는 붙이지 않아도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git add . 는 현재 파일이 속해있는 폴더의 모든 변경사항을 추적하도록 명령하는 것입니다. 만약 특정 파일의 변경사항만을 추적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git add 파일명’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위의 과정들을 통해 파일들은 stage 로 옮겨졌고 모든 변동사항 또한 파악되었습니다. 이제 남은 세 줄은 stage에서 깃허브로 이동시키는 명령어들입니다.

$git commit -m이란 메시지와 함께 파일의 현재 버전을 생성할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아까 repository를 만들 때 소개드렸던 description과 비슷한 기능이고, 실제로 업로드 후 제목 옆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명령어들을 차례대로 터미널 창에 입력하고 나면,

vscode 왼쪽에 나열되는 파일명이 초록색으로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은 아직 버전관리를 시작하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모든 입력을 마친 뒤, 깃허브에 접속해보면 아까 생성한 repository에 index.html 파일이 업로드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잠깐! 깃허브 연동이 처음인 경우, 중간에 깃허브 로그인 창이 뜨는데요. 한 번 로그인 하고 다시 터미널로 돌아와 명령어를 입력해주면 됩니다.

코딩을 마친 뒤 터미널 창을 열어 이러한 과정을 반복한다면 깃허브가 당신의 프로젝트를 차곡차곡 저장해둘 것입니다. 그렇게 노력의 흔적이 하나씩 모여 멋진 포트폴리오가 되는 것이죠. 실제로 대부분의 개발자들이 깃허브를 통해 포트폴리오를 제작하고, 깃허브 링크 한 줄로 채용되는 경우도 많답니다. 아래의 링크는 깃허브를 사용해 만든 포트폴리오의 예시입니다.
- 깃허브 포트폴리오 예시 : https://github.com/changh95
지금까지 깃허브의 기본적인 사용법과 버전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렇게 깃허브를 통해 여러분의 프로젝트와 코드를 관리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훌륭한 포트폴리오가 완성될 거예요. 아직 깃허브 포트폴리오가 없다면, 지금부터 한번 만들어보는 건 어떨까요?
IT 취업에 한계란 없다, 내일배움캠프에서 여러분의 무한한 가능성을 확인하세요
비전공자, 늦은 나이, 경험 부족···, 도전을 머뭇거리게 하는 단어들은 너무 많습니다. 대부분은 이 단어들의 무게에 짓눌려 결국 시작조차 못 하고 포기하죠.
내일배움캠프는 IT 취업에서 여러분의 발목을 잡는 단어는 아무것도 없다고 믿었습니다. 그리고 내일배움캠프에서 탄생한 수천 명의 IT 취업생으로 증명했죠.
내일배움캠프가 여러분의 가능성에 대한 ‘의심’을 ‘확신’으로 바꿔드리겠습니다. 체계적이고 꼼꼼한 관리, 고도화된 커리큘럼, 그리고 매니저와 튜터의 적극적인 지원을 믿고, 새로운 도전을 시작해 보세요.
특별 1:1 진로 상담 이벤트: 내게 맞는 IT 직무 찾기
1:1 상담으로 내게 맞는 일이 어떤 것인지 찾아 보세요. 지금 당장 아는 것, 준비된 것이 없더라도 내가 어떤 일과 잘 맞을지 짚어드립니다.
상담을 받는 분들께 최신 이력서 작성 가이드와 더불어 내일배움캠프 등록 시 인턴십 기회를 보장합니다. 지금 바로 아래 버튼을 눌러 진로 상담을 받아보세요.
Share article
Subscribe to our newsletter